다가오는 대선을 앞두고 또다시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이 주요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세종 행정수도 추진이 재점화되고, 정치권은 이를 둘러싼 논쟁으로 뜨겁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일부 대권 주자들이 세종 이전을 공식적으로 언급하면서 세종 부동산 전망에도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행정수도법 부활?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논의 본격화
더불어민주당 강준현(세종을), 복기왕(아산갑) 의원 등 충청권 정치인을 중심으로, ‘신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 개정안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본원을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르면 이달 중 발의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사실상 멈췄던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다시금 국회·행정부 통합 이전 논리로 설득력을 얻고 있는 셈입니다.
세종 이전 주장하는 대권 주자들…“국가 균형발전 위해 필요”
정치권에서도 목소리가 큽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용산은 불법적 내란의 상징”이라며, 세종시로의 대통령실 이전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이준석 의원 역시 “청와대와 국회를 결합한 명품 집무실을 세종에 구축하자”며, 세종을 국민통합의 상징 도시로 육성하자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세종시 최민호 시장은 “대통령 집무실의 위치는 단순한 사무 공간이 아닌, 수도 기능의 상징”이라며 행정적·국가적 차원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세종 부동산 시장, 대통령 집무실 이슈에 ‘꿈틀’
정치 이슈는 곧 부동산 시장의 반응으로 이어졌습니다.
KB부동산 주간 동향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시장은 하락세에서 보합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일부 단지에서는 가격이 급등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예를 들어, 세종 새롬동 ‘더샵힐스테이트’ 전용 98㎡는 2월 6억 3000만원에서 3월 말 9억 1000만원으로 2억 8000만원 상승하며 화제를 모았습니다.
또한,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세종시 3월 아파트 거래량은 684건으로 전년 동기(386건) 대비 대폭 증가했습니다.
▶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기대감이 부동산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그러나 “선거용 공약은 그만”…진정성 의심하는 시선도
일각에서는 이번 논의에 신중론도 나옵니다.
행정수도완성시민연대는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세종 공약은 지역민들의 피로감만 쌓인다”며, 특단의 실행 조치 없이는 진정성을 얻기 어렵다고 비판했습니다.
실제로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 당시 세종에 제2 집무실 설치와 국무회의 개최를 약속했지만, 현실화되지 못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또한 세종 공약을 내세웠지만 국무회의 4회 개최에 그쳤습니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 계획과 향후 로드맵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 위치: 세종시 S-1 생활권
- 사업비: 3846억원
- 목표: 2027년 완공
다만, 이번 대선 당선자는 임기 중 세종 집무실 입주가 사실상 어려울 전망입니다. 설계 공모, 부지 조성, 건설 일정까지 감안할 때 정치적 유동성도 상당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청와대 복귀 주장도 등장…여전히 갈등 중
반대로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안철수 의원 등은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과 주술의 상징”이라며 청와대 복귀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국민들에게 친숙한 공간이자 행정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즉, 대통령 집무실 위치를 둘러싼 서울 vs 세종 vs 청와대의 3파전 구도가 형성된 셈입니다.
국회세종의사당, 2028년 준공 목표…행정수도 완성의 열쇠?
한편, 세종시 내 추진 중인 또 다른 핵심 프로젝트는 국회세종의사당입니다.
- 부지 면적: 63만 1000㎡ (약 여의도 국회의 2배)
- 사업비: 총 3조 6000억원
- 목표: 2028년 준공
이 프로젝트가 완공된다면, **대통령 집무실 + 국회 이전의 ‘쌍두마차’**가 완성되며 세종시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결론: 정치적 의지 vs 행정 효율성, 국민 선택은?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은 단순한 이슈가 아닙니다.
정치적 상징성과 더불어 국가 균형발전, 수도 집중 해소, 행정 효율성 등을 아우르는 복합적인 주제입니다.
세종시가 수도 기능을 완전히 갖추게 될지, 혹은 또다시 선거용 공약으로 그칠지는 결국 국민의 선택과 정치권의 진정성에 달려 있습니다.